Welcome to Mirae ELC consulting

NEWS

News 중국, 귀리우유 시장규모 해마다 확대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관리자
댓글 0건 조회 1,108회 작성일 23-05-16 13:16

본문

 사람들의 식습관 변화와 식품업계의 관심과 투자 등으로 귀리우유는 많은 관심을 받는 부류가 되었으며커피숍 메뉴에 추가 옵션으로 보편화 되는 등 우유 대체품으로 떠올랐다.

 

  정보조사 기관 아이미디어(iiMedia)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귀리우유 시장규모는 2022년 약 40억 위안을 기록한 이래 2023년까지 연평균 20%가 넘는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등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견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.

 

‣ 풍미

 

  우유의 대체품으로서 귀리우유는 아몬드 우유두유 등 기타 식물성 우유에 비해 맛이 더 풍부한 장점이 있다고소한 풍미부드러운 식감본연의 단맛으로 원제품을 즉시 음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커피차 등과 혼합할 수 있으며다른 식물성 우유에 비해 매우 안정적으로 우유 거품을 만들어낼 수 있어 라떼 등 카페 음료 제작에 적합하다.

 

‣ 성분

 

  중국에서 귀리우유의 급속한 성장 배경에는 유당을 잘 소화할 수 없는 아시아인 유전자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현재 학계에서는 아시아 성인의 80%가 락타아제 부족으로 유당 불내증이 발생하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는데 귀리우유는 식물성 우유로서 유당이 없어 위장 예민한 소비자 및 채식주의자에게 우호적인 제품으로써 이상적인 우유 대체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.

 

‣ 중국 현지 브랜드

 

  2021년 중국 시장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시장 점유율 상위 3개 귀리우유브랜드는 스웨덴의 Oatly, 미국 Califia Farms, 벨기에 Alpro이며 수입제품 전체의 80% 이상을 차지해 중국 귀리우유 시장은 해외 브랜드가 주도한 것으로 밝혀졌다귀리우유 시장이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중국 현지 브랜드도 등장하기 시작했다이리지쉬안(伊利植选), 매일박스(每日盒子), 오트오트(Oatoat) 등 다양한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제품과 마케팅 전략에 대해 소비자 니즈에 맞춘 혁신 등으로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다만 후발주자로 뛰어 든 현지 브랜드는 여전히 브랜드 인지도 수립 등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.


이리지쉬안(伊利植选)

매일박스(每日盒子)

오트오트(Oatoat)


 

‣ 판매 경로

 

  대부분의 해외 브랜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넓은 판매망을 가지고 있지만오프라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으며 현재 주로 커피숍 원재료 등 B2B에 집중되고 있다반면 중국 브랜드는 기보유한 유통망과 인지도를 활용하거나 마트외식체인점 등과 협력하여 판매 채널을 확대하는 등 비교우위의 장점을 바탕으로 한 오프라인 중심 마케팅을 통해 더 많은 소비자 접점을 확보했다.

 

시사점

 

  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건강 의식이 향상되면서 고품질 단백질 섭취 수요가 점점 더 많아짐에 따라 귀리우유로 대표되는 식물성 우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기에 잠재력이 큰 블루오션이라고 보여진다.

 

  식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요구는 까다로워지고 있다맛있고 건강하고 양질의 영양 유무를 따지면서도 가격의 합리성뿐만 아니라 포장 등에도 신경 쓴다이로 인해 식음료 시장에서 뜨거운 성장 기회를 맞이하고 있는 귀리우유 등 식물성 우유 역시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나아가 마케팅 전략에서도 중국 내 진출한 수입 브랜드뿐만 아니라 중국산 제품의 방향을 면밀히 관찰하여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.

 

 

출처: aT
https://www.foodaily.com/articles/32372

https://www.163.com/dy/article/H7NMCF7F0511A1Q1.html